<책> 도파민형 인간 by 대니얼 Z. 리버먼 외 1명
도파민은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나가는데 있어, 필수적인 화학물질이다. 도파민은 생존이라는 인류의 진화적 과제를 수행해나가는데 필요한 것들을 욕망하고 집착하게끔 만든다. 따라서, 생존에 유리한 것이라 생각되면, 항상 더 많이 욕망하게 되어, 더 많이 쟁취하고자 하고, 생존에 유리한 행위를 함으로써, 뇌 속에 ‘도파민 분비’라는 보상을 준다. 즉 이러한 생존에 유리한 것들을 더 많이 쟁취하고자 하도록 부추기는 것을 도파민 회로 중, 도파민 ‘욕망 회로’라고 말한다. 이러한 도파민 욕망 회로로 인해, 생존에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것이라면, 무조건 더 많이 소유할려고 한다. 음식 섭취가 과다한 것도 그 한 예이다. 음식 섭취는 생존과 직결된 행위이므로,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도파민이 분비된다. 그러나 배부른 이후에도, 새로운 음식들을 보면 더 먹고자 하는 것은, 생존에 유리하게끔 미래자원을 더 쟁여두고자 하는 도파민 욕망회로 때문이다. 즉 도파민 회로의 주 특성은 오로지 ‘미래만을 생각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파민을 미래지향적 화학 물질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연애를 할 때, 초반의 설레임과 그 설레임이 오래가지 않는다는 점. 즉 설레임의 유효기간이 명확히 존재한다는 점도 도파민 회로를 통해 설명할 수가 있다. 도파민은 흔히 ‘보상예측오류’라는 것을 통해 분비된다. ’보상예측오류‘란 자신이 기대한 것보다 더 큰 보상이 자신에게 주어졌을 때를 말하며, 그러할 때, 도파민이 분비된다. 즉 미래 만을 생각하는 도파민이, 상대와의 연애에서 핑크빛 미래를 ‘상상’함으로써, 도파민이 분비되어, 상대에 대한 흥분과 설레임, 흔히 말하는 콩깍지가 씌이게 된다. 즉 도파민은 오로지 ‘기대’에 의해 작동하는 호르몬이다. 그러나 이러한 미래에 대한 기대가 현실의 익숙함으로 바뀜에 따라, 오로지 미래지향적인 도파민은 더 이상 분비 되지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에 접어든 많은 이들이 헤어지게 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사귀어나가는 사람들은, 도파민의 미래지향적인 관계에서, 옥시토신, 엔드로핀과 같은 엔도카나비노이드 계열의 현재지향적 화학물질의 분비를 통한, 동반자적 사랑으로 관계의 속성이 변한 것이다. 즉 핑크빛 미래라는 상상이 아닌, 오로지 현재의 순간순간에 기반을 두어, 현재 자체에 녹아드는 것이다. 즉 사랑의 속성이 ‘기대’에서 ‘경험’으로 바뀌어 나가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흔히 현대 사회의 외적인 ‘미’의 기준에서 ‘잘생김’ ‘아름다움’에 부합하는 사람을 보면, 우리의 뇌 속에 많은 양의 도파민이 분비되어, 그들이 이성에게 고백을 할 때, 성공확률이 높은 것이다. 그리고 20대 초반까지의 대부분의 사람들의 이상형은 잘생기고, 예쁜 사람이다. 그 이유는 이성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통제회로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10대의 사람을 저자는 ‘뇌 손상을 입은 성인’이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10대의 경우, 게임과, 약물 중독에 빠질 위험성이 더 큰 것이다. 통제회로의 미성숙으로 인해, 온갖 보상이 넘쳐나는 게임 세상과 약물에 중독될 위험성이 더 크다. 이러한 오로지 외적인 것만을 보고 연애를 하게 되면, 헤어질 확률은 도파민 분비량에 반비례하게 된다. 즉 그들과의 핑크빛 미래만을 상상하며, 도파민이 분비되었다가, 그것이 현실의 익숙함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더 이상, 도파민 분비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로지 도파민 분비에 의한 외적인 모습만을 보고 연애를 한 사람은 당연히, 도파민 분비의 유효기간이 끝남에 따라, 자연스레 헤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내면적인 것에 더 가치를 두는 사람은 그러한 기간에 이어, 동반자적 사랑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현재지향적 화학물질들로 인해, 이들의 연애 척도가 ‘설레임’이 아닌, 이 사람과 함께 있을 때 ‘편안한‘지에 초점이 옮겨가기 때문이다.
도파민 욕망 회로는 강제적으로 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것은 흔히 아는 마약류의 약물들이다. 또한, 알코올과 니코틴도 포함이 된다. 이는 강제적으로 도파민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기분좋음’과 같은 감정상태를 느끼게 만든다. 또한 약물의 혈중 농도와 도파민 분비사이의 관계는 비례관계로, 약물의 혈중 농도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도파민 또한 빠르게 분비되게 된다. 그래서, 술을 마실 때, 초반에 부어라 마셔라 하는 것과 같이, 빠르게 알코올을 섭취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높임으로 인해, 도파민 분비가 그에 비례해 증가하여, ‘기분좋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마약을 하는 사람들이 혈관에 직접적으로 주사기를 통해 마약을 투약하는 것도, 혈중 약물 농도를 빠르게 올리기 위해서이다. 그럼으로써, 빠르게 도파민을 분비시킴으로써, ’기분좋음‘이라는 느낌을 빠르게 얻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오로지 미래만을 생각하고, 생존에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것이라면 무조건 ’더, 더, 더‘를 외치며 욕망하는 이러한 도파민 욕망회로를 견제하는 또 다른 도파민 회로가 존재한다. 이는 ‘도파민 통제회로’라고 불리며, 이는 더 나은 미래를 생각하는 것은 동일하나, 그 미래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어떻게 해야하는지, 계획과 전략을 수립한다. 그리고 보통 도파민 통제회로는 추상적 사고를 할 때, 켜지기 마련이다. 도파민 통제회로는 도파민 욕망회로가 계속 욕망할 때, 이러한 욕망이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데 필요한 욕망인지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앞에서 이야기했다시피,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함으로써, 계획, 전략을 수립하는 역할을 하는 도파민 통제회로 임으로, 도파민 통제회로는 끈기, 의지와 많이 관계가 되어 있다. 즉 도파민 욕망회로를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욕망함으로써, 원하고, 도파민 통제회로를 통해, 그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계획과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실제로 그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끈기와 의지를 발휘하게 만드는 회로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파민 회로에 문제가 생기면, 미래를 위한 일을 하지 않게 된다. 만약, 오로지 현재지향적 화학물질들만이 우세하게 분비되면,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현재에만 충실함으로, 행복한 게으름뱅이가 되기 마련이다. 이와 반대로, 미래지향적 화학물질들만이 우세하면, 현재에 충실하지 못하고, 오로지 미래만을 생각하므로, 불행한 일중독자가 되어버린다. ’행복한, 불행한‘을 붙인 이유는,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서는 만족감을 느껴야 하는데, 이는 오로지 현재에 집중할 때에만 ’만족감‘이라는 것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미래지향적 화학물질만이 분비되어 버린다면, 미래만을 생각하며, 현재의 것들을 사소한 것으로 치부해버리며 살아가는 일들은 불행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즉 도파민 욕망 회로가 과다 발현되면, 약물 중독에 빠지듯이, 도파민 통제회로가 과다 발현되면 성취욕에 사로잡히게 된다. 따라서,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해도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오로지 해당 목표의 달성은 다음 목표로 넘어가기 위한 단계라고 생각함으로써, 이러한 성취욕에 중독된 사람들은 만족을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자신이 하는 행위에 대해서 만족감을 느끼려면 현실에 충실해야 하고, 그리고 이와 더불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지향적 화학물질과 미래지향적 화학물질의 조화가 필연적이다. 그럴때에만,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하루하루 건설적으로 살아가면서, 그 하루하루가 자신에게 있어 만족스러운 하루가 되어,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